목 차
최근 7년 사이 대부업(지자체 등록업체 기준)을 포함해 금융권에서 취급한 신용등급 7등급 이하 저신용자 가계대출 잔액이 40조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가계대출에 대한 수요가 꾸준하다는 점에 비춰 볼 때 금융권에서 흡수하지 못한 저신용·서민층의 초과 자금 수요는 불법 사금융 시장으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농후해 보인다.
학계에서는 불법 사금융 시장 규모가 수십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한다.
8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대부업을 포함해 금융권에서 취급한 신용등급 7등급 이하(7~10등급) 저신용자 가계대출 잔액은 2010년 말 139조3000억원으로 매년 감소세다. 저신용자 가계대출은 작년 말(99조4000억원) 처음으로 100조원을 밑돌았고 올해 3월 말에는 99조2000억원을 기록해 최근 7년 동안 40조원 이상 쪼그라들었다.
업권별(올해 3월말 현재)로 신용 7등급 이하 저신용자 가계대출 잔액을 보면 지방은행을 포함한 시중은행은 24조2000억원을 취급해 상호금융권(37조3000억원) 다음으로 규모가 컸다.
하지만 은행권이 취급한 전체 가계대출(795조4000억원) 규모에 견줘 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보면 3.0% 수준으로 금융권 중 가장 낮다. 저신용자에게 특히 문턱이 높은 은행 여신심사 관행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서민금융기관을 자처하는 저축은행권의 경우 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취급한 가계대출 대비 35.3%(8조3000억원)를, 카드사·캐피탈 등 여신전문금융회사는 16.3%(14조3000억원) 수준을 각각 나타냈다.
특히 대부업체는 취급한 전체 가계대출 13조1000억원 가운데 73.6%인 9조6000억원을 신용 7등급 이하 저신용자에 빌려줬다.
금융권에서 밀려한 저신용자들이 주로 고금리 대부업체에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학계에서는 가계대출에 대한 수요가 꾸준하다는 점에서 금융권에서 줄여 나간 저신용자 대출의 상당액이 불법 사금융 시장으로 흘러 갔을 것으로 본다. 심지홍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93만명 가량이 불법 사금융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불황으로 가계 빚이 늘고 경제 사정이 악화되면서 불법 사금융 시장에 잠재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저신용·서민이 140만명에 이른다는 학계 추정도 나온다.
'최신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한은행, ‘신한 S드림 신용대출’ 선봬 (0) | 2017.07.03 |
---|---|
6·19 부동산대책 / 주택담보대출 LTV·DTI 어떻게 강화되나 (0) | 2017.06.19 |
겹악재에 비트코인 19% 폭락…사흘새 1천달러↓ (0) | 2017.06.16 |
한국씨티은행, 인터넷전문은행보다 금리 높은 예금 특판 (0) | 2017.06.16 |
"한진해운 채권단, 만장일치로 추가지원 불가 결정" 주가 급락 (0) | 2016.08.30 |
30일부터 계좌이동제 시행. 계좌이동제란??? (0) | 2015.10.30 |
TPP 협상 7년만에 타결.. "한국은 왜 빠졌나" (0) | 2015.10.06 |
개인회생 파산면책 잘하는 곳 (0) | 2014.07.24 |